
태권도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다, 태권플랜 키케로 대한민국의 아이들에게 태권도는 꽤나 유의미한 주제이다. 태권도를 하는 아이들보다는 태권도를 안하는 아이들이 훨씬 더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아이들에게 친숙하다. 내가 하지 않더라도 내 친구가 다니며 간접체험을 통해 태권도를 알게 된다. 요즘은 그 수가 많이 줄어들었으나 그래도 길거리에 태권도복을 보란듯이 입고, 다니는 아이를 심심치 않게 보게 된다. 태권도라는 문화는 어른과 아이 할 것 없이 우리의 문화로 정착된지 오래다. 한편으로는 친숙한 태권도의 이미지로 그 의미가 축소되기도 한다. 과거 무도정신을 배우는 전당에서 이제는 유아체육의 한 종류로 분류하는 사람들도 있다. 과거에 우리가 갖고 있던 태권도에 대한 인식은 당연하듯 시간의 흐름..
태권도의 날, 대한민국의 국기 오늘은 태권도의 날! 태권도가 우리나라 전통무예인가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가끔은 택견이 태권도의 조상이라는 말도 들은 바 있다. 그런데 태권도의 역사를 좀 살펴보면, 태권도의 역사는 일본의 가라데에서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시대 일본의 가라데가 조선반도에 파급되었고, 그 유파들이 여럿 파생되어 광복이후 한참지나 태권도조직과 프로그램이 갖추어지면서 태권도는 이 세상에 이름을 들어내고 세계적인 스포츠로 발돋음했다. 일본가라데에서 태권도가 태동했다고 해도 태권도와 가라데는 전혀 다른 길을 걸었다. 태권도는 경기태권도라는 겨루기가 도입되어 발차기 위주의 대련경기로 만들어지며, 세계적 경기스포츠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전세계에서 태권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
초등한국사 연대표 암송프로그램 1단계 마무리_한반도에서의 국가의 흥망 초등학교 아이들에게도 한국사의 중요성은 커졌다. 비단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한국사는 아이들에게 사회의식와 공동체 문화를 학습하게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지식이면서 수단이다. 초등학교 아이들은 생각보다 한국사에 대한 관심이 크다. 초등한국사란 초등학교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한국사 과정을 이르는 말이고도 하다.초등한국사를 아이들에게 무리없이 또는 좀 더 편하게 다가가는데 있어 정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를 생각해보았다. 내가 얻은 결론은 초등한국사 연대표를 외우는 것이었다. 초등한국사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점은 국가사인 만큼, '국가의 흥망'이다. 나라가 생기고, 없어지는 과정이 한국사의 면면에 흐르고 있다.우리가 흔히 한국..